【앵커】
이를 놓고 정부의 신생항공사 면허 부실 심사 논란이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고 있습니다.
김용재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3월 국제항공운송면허를 받은 에어프레미아.
면허취득 1달 만에 전 대표의 배임·횡령 시도 의혹을 이유로 경영진이 교체되면서 변경면허를 신청했습니다.
항공운송사업자 대표 변경은 항공 면허 자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중요 사안입니다.
그러나 정부가 에어프레미아에게 변경면허를 발급하면서, 에어프레미아는 면허 취소 위기를 넘기게 됐습니다.
국토교통부는 에어프레미아가 결격사유가 없으며, 자본금과 항공기 도입계획 등 물적요건을 충족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경영진 교체에도 오히려 늘어난 투자의향 금액 규모, 기존과 변동 없는 사업계획도 면허 발급 이유였습니다.
일단, 에어프레미아는 내년 9월 첫 취항 일정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
[김문권 / 에어프레미아 홍보실장: 이번 변경면허를 계기로 변함없이 투명하고 공정한 경영을 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그리고 급변하는 항공산업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재무건전성을 대폭 높일 예정입니다.]
다만, 아직 넘어야할 산은 많습니다.
[허희영 / 한국항공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현재로서는 시장 진입하는 신설 항공사로서는 매우 취약한 점이 많은데, 과연 그 틈새를 어떻게 찾아내느냐….]
여기에, 최근 또 다른 신규 항공사인 에어로케이도 경영권 분쟁을 겪는 등 정부의 신생항공사 면허 부실 심사 논란은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OBS뉴스 김용재입니다.
<영상취재: 이홍렬 / 영상편집: 민병주>
김용재Copyright © O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