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수도권매립지는 지난 30년 가까이 서울, 경기, 인천 모든 지역의 쓰레기 등 폐기물 처리를 전담해 왔습니다.
주민들은 예정대로 2025년 매립을 중단하고 발생지 처리 원칙을 적용해 줄 것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매립지와 인근 지역에, 정보윤 기자가 한 뼘 더 들어가봤습니다.

【기자】

거대한 쓰레기더미.

15톤 넘는 대형 화물차가 장난감처럼 보입니다.

쉴 새 없이 드나드는 트럭이 쓰레기 등 폐기물을 분주히 쏟아냅니다.

서울 난지도매립장이 사용 종료된 후 1992년부터 30년 가까이 사용 중인 수도권매립지입니다.

[민병환 /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반입부장: 생활폐기물의 비율은 약 25% 정도 되고 나머지는 다 사업장폐기물들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스탠딩】
이곳에서 매립되는 쓰레기만 하루 1만4천여 톤. 덤프트럭 850여 대가 매일 드나듭니다. 2년 전부터 가동을 시작했는데 현재까지 벌써 30%가 넘게 사용됐습니다.

불과 1km 떨어진 서구 사월마을은 정상적인 거주 환경에 미달된다는 이유로 '주거 부적합' 판정을 받았습니다.

악취에다 소음과 먼지까지 더해져 차라리 폭력에 가깝습니다.

[백진기 / 인천광역시 서구: 환경 폭력에 대해서는 여기만큼 심각한 데는 없다고 봅니다. 태우는 종류에 따라서 악취가 나는데 한 번 악취가 휘몰아치면 방송도 하고 그래요.]

지난해 기준 수도권매립지에 들어오는 쓰레기 비중은 서울 42%, 경기 37%, 인천이 21%.
발생지 처리 원칙을 적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백진기 / 인천광역시 서구: 남의 동네 갖다 주면서 쓰레기봉투 값을 좀 주는 거랑 똑같아요. 그게 과연 정상적인 것인가.]

기준치 이하라곤 해도 쓰레기를 태울 때 발생하는 다이옥신 등 유해물질을 최소화하는 게 더 중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박주희 / 인천녹색연합 사무처장: 수도권매립지가 정말 종료되려면 선결 조건들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소각장 문제라든지 전처리 시설을 어떻게 할 것인지….]

더 이상의 연장은 없다며 자체매립지 후보지를 발표한 인천시.

약속한대로 2025년에 수도권매립지 사용을 종료할 수 있을지 인천 시민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OBS뉴스 정보윤입니다.

<영상취재: 한정신 / 영상편집: 양규철>

【앵커】
보신 대로 수도권매립지 관련 후속 대책이 시급한데요.
김민주 기자와 좀 더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매립지가 있는 인천시, 이곳을 함께 사용하는 서울시, 경기도의 입장이 다르죠.
정리해볼까요?

【기자】

네. 먼저 수도권매립지가 위치한 인천시는 2025년까지만 사용하자고 합니다.

지금 사용하는 3-1공구가 이때쯤 포화된다는 건데, 인천시장 발언부터 듣겠습니다.

[박남춘 / 인천시장: 쓰레기 독립을 시작합니다. 서울과 경기에도 촉구 드립니다. 각자 쓰레기는 각자 발생지에서 처리합시다.]

그래서 오늘 자체매립지와 소각장 후보지를 발표하고 나선 건데, 제약이 많습니다.

우선 자체매립지는 수도권매립지의 100분의 1 규모거든요? 소규모라 설계랑 공사가 4년 정도로 단축될 수 있다, 여기까지 가능한 얘기입니다. 그러나 영흥도 주민들이 강력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고요.

이마저도 전제 조건은 소각시설입니다. 인천시 계획대로 2024년 자체매립지를 완공해도 소각시설이 없어 지금처럼 직매립한다면, 사실상 3~4년 쓰고 말 매립지를 짓는 셈이거든요.

환경부 관계자는 소각시설은 폐기물처리시설촉진법을 적용 받아 평균 소요 기간이 5년 정도이고, 신설인 경우는 입지선정위원회부터 시작하는데 역시 관건은 주민 합의라고 했습니다.

【앵커】
얘기를 들어보니 앞으로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
그래도 추진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기자】
네, 현재 서울·경기·인천이 공동으로 대체매립지를 추진하고 있는데, 이 역시 제약 조건이 많은 겁니다.

2015년 3개 시·도에 환경부까지 포함한 4자 합의가 있었는데, 수도권매립지를 10년 정도만 더 사용하면서 대체매립지를 조성하자고 합의했거든요. 이 합의가 진척이 없는 겁니다.

그런데, 대체매립지가 확보되지 않으면 지금 쓰고 있는 수도권매립지의 잔여 부지를 추가 사용한다는 단서조항이 있거든요.

【앵커】
잔여부지를 추가 사용하는 수순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는 거죠?

【기자】
현재까지는 그렇습니다.

【앵커】
서울시나 경기도는 어떤 입장인가요?

【기자】
시간이 없다는 건 공통된 생각이었습니다.

먼저 경기도 공식 입장입니다.

[경기도 관계자: 수도권매립정책 4자 협의에 따라 만일 (대체매립지가) 확보되지 않을 경우 합의한 대로 현 수도권매립지 잔여부지 사용을 추진합니다.]

만약 대체매립지 사업이 실제 착수되더라도 매립지 조성에 최소 5~6년 절대 공기가 필요하니까요, 당장 2026년부터는 어쩔 거냐, 쓰레기 대란 우려가 나옵니다.

그럼 수도권매립지 잔여부지라도 써야한다, 그런데 여길 매립장으로 만드는 데도 설계 2년, 공사 3년, 5년 걸린다, 이겁니다.

서울시 입장입니다.

[서울시 관계자: 추가 사용 준비를 하지 않으면 문제가 커져요. 3개 시·도가 뜻을 같이 해서 4자 합의 틀 안에서 빨리, 자칫 잘못하면 골든타임을 놓칠 우려가 있다….]

【앵커】
정부의 중재가 필요해 보이는데, 어떻습니까?

【기자】
환경부는 일단 조정안을 냈다고 하고요. 오는 17일 '대체매립지확보추진단' 회의에서 이를 바탕으로 논의가 있을 겁니다.

올해 안에 대체매립지 공모를 개시하는 게 목표입니다.

[환경부 관계자: 수도권 전역의 기초 지자체를 대상으로 입지안을 타진하는 절차입니다. 어느 정도 이견을 조정해서 최대한 빨리 공모 절차를 이행하는 걸로….]

무엇보다 이해 당사자들이 지역이나 정치권 논리로만 가면,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들 몫이라는 점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앵커】
김민주 기자 수고했습니다.

<영상취재: 한정신,이영석/ 영상편집: 공수구>

  • OBS 뉴스는 언제나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 전화 032-670-5555
  • ▶ 이메일 jebo@obs.co.kr
  • ▶ 카카오톡 @OBS제보
저작권자 © OBS경인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