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윤정식 / 당시 경민대 정보통신과 교수: 어떤 데이터베이스가 있는 센터가 있으면 주변에 고급 인력을 공급해줄 수 있는… 많은 사람들이 뭐 아마 쌍수를 들고 환영을 할 겁니다.]

데이터센터 유치를 놓고 지자체 간 경쟁이 붙었던 때가 있었습니다.

기업의 통 큰 투자로 지역 경기 부양에 한몫한다는 판단에서였는데요.

그런데 요즘은 현실은 다릅니다.

[김정아 / 안양특고압반대시민모임 대표: 특고압선이 많은 학교와 유치원들을 지나가고 있기 때문에 학부모들의 걱정이 굉장히 많거든요. 전자 서명이 천명 이상 되면은 저희가 교육청에 민원을 제기할 예정입니다.]

데이터센터 문제로 안양 시끄럽습니다.

전력공급을 위한 15만 4천V 매설 공사를 두고 시민 반발이 큰데 전기관 깊이 1m 미만 구간엔 주거지와 학교 앞 삼거리가 있고

또 초고압선이 불과 69㎝ 깊이로 얕게 묻힌 곳도 있는 것으로 확인돼 논란 극심합니다.

그런데 안양만의 고민이 아닙니다.

용인은 데이터센터 건립을 위해 초고압선이 매설되면 유해 전자파의 위험성이 있다며 집단 민원이 제기됐고

김포는 아파트단지와 불과 20m 떨어진 곳에 건립되는 데이터센터와 초등학교 인근 특고압 전선 소문에 허가 철회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장시간 노출 시 소아암 유발 가능성.

네, 전자파는 WHO가 지정한 2급 발암물질이 맞습니다.

거기다 냉각과정이 꼭 필요한 만큼 수자원 오염도 제기되고 지난 10월 판교 데이터센터 사고로 화재 우려도 더해졌으니 시민 불안 당연합니다.

그런데 더 큰 문제는 이 불안이 시작단계일지도 모른다는 현실입니다.

보시다시피 지난 2020년 기준 수도권에 자리 잡은 데이터센터가 전체의 70%가 넘는데 2029년에는 수도권 입지 비율이 90% 달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습니다.

그 전망을 뒷받침하는 건 데이터센터 업계 관계자들의 목소립니다.

수도권을 벗어나면 기업 기관 확보가 어려워 투자자들이 꺼린다.

그런데 그 어디에 짓든 데이터센터 증가는 예정된 일입니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반시설로 AI, 메타버스, 클라우드 확산 등에 따라 생성 유통 축적 규모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이제 우리 사회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고석규 / 의정부시 기업지원팀장: 전자파 인체보호 기준은 833mG로 기준대비 0.02%에 불과합니다. 또한 전력공급을 위한 지중선로는 154kv가 아닌 일반 전봇대에서 볼 수 있는 22.9kv로 인입되기 때문에 전자파에 대한 걱정은 안 하셔도 되겠습니다.]

네, 주민 불안에 정확한 수치와 계획 설명이 중요합니다.

그것이 데이터센터 건립으로 의정부는 시끄럽지 않은데 다른 지역들은 소란스러운 이유가 아닐까요.

인허가 과정에서 위법성 없었다.

김포와 안양 등의 대응은 시민 불안 해소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이현주 / 경기도 안양시: 첫째가 일곱 살이에요. 이제 학교에 입학하는데 학교 앞에 이렇게 제일 근접하게 묻히고 그리고 1, 2m밖에 묻히지 않아서 그 전자파의 위험이 너무 걱정이 돼요.]

우리 지역엔 이렇게는 안 돼.

데이터센터가 제2의 물류센터가 되지 않을까 우려됩니다.

디지털 시대 필수불가결한 인프라라는 강조만 할 게 아니라 지자체들, 과학적 자료와 대책으로 시민 불안에 응답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데이터센터를 세우기 전 시민들 앞 정확한 데이터를 내놓아야 하는 게 우선입니다.

앵커 포커스였습니다.

  • OBS 뉴스는 언제나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 전화 032-670-5555
  • ▶ 이메일 jebo@obs.co.kr
  • ▶ 카카오톡 @OBS제보
저작권자 © OBS경인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