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여진 기자와 얘기 더 나눠 보겠습니다.
이 기자, 교육감은 권한이 상당하고 특히 직선제 이후 경기도에서는 첫 보수 교육감이 탄생하면서 교육정책의 변화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되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올해 경기도교육감이 집행하는 예산은 19조 1천969억 원에 달합니다.
인사권을 가진 교사와 공무원은 12만 명이나 됩니다.
지난 지방선거에서 보수 성향의 임태희 후보가 당선되면서 등교시간이나 돌봄시간 조정 등 교육현장에서도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그런데도 경기도교육감 선거의 무효표가 경기도지사의 3배가 넘었다, 어떻게 봐야 할까요?

【기자】
네, 후보자 2명 이상에게 기표하거나 어느 칸에도 표를 찍지 않으면 무효표가 되는데요, 지난 경기도교육감 선거 무효표는 19만 6천 표에 달했습니다.
경기도지사 선거 무효표의 3배가 넘고, 수원시 장안구의 총 선거인수와 맞먹는 규모입니다.여기에 투표를 아예 하지 않은 기권표까지 합하면 전체 선거인수의 절반을 넘습니다.수억 원을 들여 선거를 치르고도 도민 2명 중 1명만이 투표에 제대로 참여한 것입니다.

【앵커】
우리나라는 교육열이 높은데 정작 교육감 선거엔 무관심하다, 이유가 뭘까요?

【기자】
후보자들의 정책과 공약을 검증하는 기회가 부족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현행 공직선거법상 지방선거 선거운동 기간은 14일입니다.
이 시간 동안 후보자들이 학생과 학부모, 교사들을 직접 만나 자신의 정책과 공약을 알리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 중론입니다.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경기도교육청은 각 학교가 교과시간을 활용해 1시간 동안 참정권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교육의 정치적 중립을 위해 기호도 빼고 진행하는 선거인 만큼, 선생님들 입장에서는 혹시라도 말 한 마디 잘못했다 논란이 될까봐 소극적이게 될 수밖에 없습니다.

【앵커】
유권자들의 관심을 끌 대안은 없을까요?

【기자】
사실 문제를 단번에 해결해 줄 정답은 없습니다.
해외에서도 다양한 방법들로 교육감을 뽑고 있는데요, 프랑스에서는 대통령이, 독일에선 주지사가 교육감을 임명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전체 50개 주 가운데 25개 주는 주교육위원회가, 11개 주는 주지사가 임명하고, 나머지 14개 주는 직선제를 시행합니다.
영국도 지방의회에서 선임된 교육위원들이 임명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선거운동 기간 연장, 시도지사 선거와 분리, 임명제 전환 등 다양한 의견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의 이야기 들어보시죠.

[이광재 /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사무국장: 자기를 알릴 수 있는 시간을 좀 늘려줘야 되고요. 그리고 시도지사 선거하고 같이 치르기 때문에 시도지사에 모든 미디어가 다 포커스가 가 있잖아요. 그러니까 따로 치러지면….]

[김영미 / 상명대 행정학과 교수: 선거보다는 오히려 임명직에 의해서 가게 되면 청문회라든가 또는 여러 과정의 절차를 거쳐서 오히려 검증을 더 정확하게 해볼 수 있지 않을까….]

【앵커】
네, 교육감 직선제가 벌써 15년이 됐는데요. 
일단 지금 방식은 문제가 있다는 의견이 많은 것 같습니다. 머리를 맞대야 할 것 같군요. 
이여진 기자, 수고했습니다.

  • OBS 뉴스는 언제나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 전화 032-670-5555
  • ▶ 이메일 jebo@obs.co.kr
  • ▶ 카카오톡 @OBS제보
저작권자 © OBS경인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