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190여 가구에 310여명 넘는 주민이 산다는 건데요.
김대희 기자와 더 이어가 봅니다.
왜 사라진 마을이라고 한 거죠?

【기자】
지금은 인창1, 2구역으로 불리기 때문인데요.

인창4리는 행정구역상 없어진 명칭입니다.

판자촌이 되다시피한 인창4리 뒤로 아파트와 신축빌라 등이 보입니다.

2001년 그린벨트에서 해제된 뒤 개발이 가능했지만, 여전히 낙후됐습니다.

가파르고 좁은 골목길 등 사고와 화재에 취약하고 범죄에도 무방비입니다.

도심에 이런 곳이 있었나 할 정돕니다.

【앵커】
작년 2구역, 재작년 1구역에 조합이 설립됐다면 뭔가 일사천리로 주거환경이 바뀌는거 아닌가요?

【기자】
조합 설립 이후 구체적 실행계획이 잡혀야 한다고 주민들은 지적합니다.

제출서류와 자료 보시면 좀더 뚜렷해 보입니다.

정비해야 할 구역과 전체 땅의 지적도,

3년 가까이 공들인 주민 동의절차까지.

구리시가 꼼꼼하게 승인한 만큼, 염원했던 가로주택정비사업은 진행만 하면 된다고 주민들은 주장합니다.

【앵커】
그런데 오히려 구리시는 최근 '전면 재검토'나 다름 없는 입장을 내놨다고요?
그럼 주택정비가 또 물건너 가는 겁니까?

【기자】
구리시 입장이 관철되면 사실상 좌초될 가능성이 높은 게 사실입니다.

3년 넘게 동의절차를 또 밟아야 하고, 노후도가 올라가면 사업 자체가 무산됩니다.

구리시는 인창1, 2구역 주변지 다시 말해 주변지역도 묶어서 개발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사업에서 소외되는 잔여지가 없도록 정비사업 방식과 사업구역 재검토"를 공식화했습니다.

그럴듯한 말이지만 원주민 입장에선 환장할 노릇입니다.

저기 보이는 건설 중인 빌라와 최근 입주한 주민들까지 혜택이 가면 금상첨화지만,

반대로 그분들이 반대하거니 빌라가 우후죽순 더 들어올 경우, 동의율도 낮아지고 노후도 역시 약화됩니다.

불편을 감수하고 최대 20년 이상 참아 온 대다수 원주민들은 계속 이런 맹지 판자촌에서 매서운 겨울과 무더운 여름을 또 나야 합니다.

【앵커】
참 답답한 노릇인데요. 엊그제 윤석열 대통령이 이런 말 하셨죠?

[윤석열 대통령: 소규모 도시정비 사업은 국가의 지원을 더 강화하겠습니다. 재정지원과 이주비 융자를 확대해서 국민들의 거주 환경을 속도감 있게 개선하겠습니다.]

구리시 인창4리도 윤 대통령 지적에 부합하는 곳인가요?

【기자】
안타깝지만 취재해보니 직접적 관련성은 약합니다.

30년 이상된 도심 아파트와 빌라 등이 우선적으로 해당됩니다.

다만 법적으론 주민 입장이 우세한 편입니다.

A로펌 등 법무법인 3곳에서 모두 구리시의 무리한 법적용을 문제 삼았습니다.

인창1구역과 2구역이 일찌감치 시작하고 추진해 온 사업을 갑자기 다 합쳐서 덩치를 키우라는 건 적절치 않다는 지적입니다.

특히 이미 2001년 그린벨트에서 해제됐다는 점이 제대로 반영 안됐다는 점과

무리하게 선행 법에 꿰어 맞췄다는 점도 향후 논란이 예상됩니다.

【앵커】
말 나온 김에 윤 대통령의 우려 섞인 말 한번 더 들어보시죠.

[윤석열 대통령: 자신들이 살고 있는 집이 위험해지길 바라는 그런 웃지 못할 상황이 또 일어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재개발 재건축의 착수 기준을 '노후성'으로 완전히 바꿔야 될 것 같습니다.]

더 명확한 논리가 있을까요? 위험한 국민의 집을 고쳐주겠다? 이게 맞는거죠?

【기자】
인창 2구역 언덕 집에서 합선으로 방에 불이 났는데, 소방차가 빨리 못와 숨졌다는 엄중한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가로주택정비가 힘들다면 주거환경개선사업도 대안으로 제시됩니다.

인창 1,2구역과 주변까지 골고루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구리시 행정 절차가 매뉴얼에 맞게 진행됐는지, 22년 전 그린벨트해제 사실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적용했는지 등등

단체장이 바뀌거나, 담당 공무원이 바뀌거나 혹은 시의회 구성원이 변경될 때마다

영향을 받는다면 그게 진정 주민을 위한 행정일까를 확실히 인식해야 할 겁니다.

【앵커】
김창신 할아버지와 채재순 할머니가 내년엔 좀더 따뜻한 성탄절을 맞았으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김대희 기자였습니다.

  • OBS 뉴스는 언제나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 전화 032-670-5555
  • ▶ 이메일 jebo@obs.co.kr
  • ▶ 카카오톡 @OBS제보
저작권자 © OBS경인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